행위

"전용서버 와 공유서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B CAFE

(= 연결 과정)
(오라클 전용서버 와 공유서버)
1번째 줄: 1번째 줄:
 
== 오라클 전용서버 와 공유서버 ==
 
== 오라클 전용서버 와 공유서버 ==
* 서버프로세스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아래 2가지가 있다.
+
* 서버프로세스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방식
 +
# 전용 서버(Dedicated Server) 방식
 +
# 공유 서버(Shared Server) 방식
  
 
=== 전용 서버(Dedicated Server) 방식 ===
 
=== 전용 서버(Dedicated Server) 방식 ===

2023년 9월 18일 (월) 01:42 판

thumb_up 추천메뉴 바로가기


1 오라클 전용서버 와 공유서버[편집]

  • 서버프로세스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방식
  1. 전용 서버(Dedicated Server) 방식
  2. 공유 서버(Shared Server) 방식

1.1 전용 서버(Dedicated Server) 방식[편집]

  • 요청이 올때 마다 서버프로세스를 새로 생성해서 연결하고 요청/응답하고 제거하는 방식

1.1.1 연결 과정[편집]

  1. Listener가 데이터베이스 연결 요청을 받음
  2. Listener가 서버 프로세스 생성 및 연결 요청
  3. 서버 프로세스가 resend 패킷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4. 클라이언트에서 오는 요청에 대한 응답
  • SQL을 수행할 때마다 연결 요청을 반복하면 서버 프로세스의 생성과 해제도 반복하게 되므로 DBMS에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전용 서버 방식을 사용하는 OLTP성 애플리케이션에서는 Connection Pooling 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1.2 공유 서버(Shared Server) 방식[편집]

  • 하나의 서버 프로세스를 여러 사용자 세션이 공유하는 방식 * 미리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띄워놓고 이를 공유해서 재사용한다.

1.2.1 연결 과정[편집]

  1. Listener가 데이터베이스 연결 요청을 받음
  2. Listener가 가용한 Dispatcher 포트번호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3. Dispatcher로 온 요청을 요청큐(Request queue)에 넣음
  4. 공유서버가 요청큐에서 요청을 가져와서 해결한 후 응답을 응답큐(Response queue)에 넣음
  5. Dispatcher가 응답큐로 부터 결과를 가져옴
  6.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리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