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Margin 속성

DB CAFE

Dbcafe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2월 24일 (화) 14:20 판 (새 문서: HTML이나 XML같은 언어를 사용하다보면 Margin과 Padding이라는 속성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몇몇분들은 이 두가지 속성의 의미를 잘 모르고 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thumb_up 추천메뉴 바로가기


HTML이나 XML같은 언어를 사용하다보면 Margin과 Padding이라는 속성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몇몇분들은 이 두가지 속성의 의미를 잘 모르고 쓰시는 분들도 있더군요. 두 속성 다 여백을 주는 의미에서는 같지만. 분명 다른점도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argin, Padding 속성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rgin/padding

Margin과 Padding 두가지 속성의 차이점은 위 사진 하나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합니다. Margin은 Object와 화면과의 여백(외부여백)을 말하며 Padding은 Object내의 내부여백을 의미합니다. 그럼 아래 예제를 보면 완벽히 이해할 수 있으실겁니다.


예제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title>

   <style>
       body {
           margin:0;
       }
       div {
           width:100px; height:100px;
           font-weight:bold;
       }
       #box1 {
           background-color:red;
       }
       #box2 {
           background-color:green;
           margin:10px;
       }
       #box3 {
           background-color:blue;
           padding:10px;
       }
        #box4 {
           background-color:yellow;
           margin:10px 10px 10px 10px; /* 위쪽 오른쪽 아래쪽 왼쪽 마진속성 한번에 주기 */
           padding:10px 10px 10px 10px; /* 위 오른쪽 아래쪽 왼쪽 패딩속성 한번에 주기 */
       }

   </style>

</head> <body>

100*100
nomal
100*100
margin
100*100
padding
100*100
margin
padding

</body> </html> 출력 결과 빨간색 : 설정 없음

녹색 : 마진 10px(위,아래,좌,우)

파란색 : 패딩 10px(위,아래,좌,우)

노란색 : 마진, 패딩 10px(위,아래,좌,우)

예제1결과

보시는것 처럼 Margin과 Padding속성을 설정하면 위,아래,좌,우에 모두 Margin과 Padding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위쪽 Margin만 주고싶거나 아래쪽 Padding만 주고싶은 경우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겠죠?

일부분적용법

한 방향에만 Margin이나 Padding을 설정해주고 싶은경우에는 margin-방향 padding-방향 이라고 설정해주면 됩니다.


예제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title>

   <style>
       body {
           margin:0;
       }
       div {
           width:100px; height:100px;
           font-weight:bold;
       }
       #box1 {
           background-color:green;
           margin-left:10px;
       }
       #box2 {
           background-color:blue;
           padding-top:10px;
       }
       
   </style>

</head> <body>

100*100
margin-left
100*100
padding-top

</body> </html> 출력 결과 녹색 : 왼쪽마진 10px

파란색 : 위쪽패딩 10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