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오라클 관리 실무

DB CAFE

thumb_up 추천메뉴 바로가기


목차

1 오라클 관리 실무[편집]

  • 서진수 저자(글)
  • ISBN 9788970507828
  • 발행(출시)일자 2013년 07월 20일

9788970507828.jpg



1.1 [CHAPTER O1] - Oracle Architecture[편집]

1.1.1 DBMS와 Oracle 이야기[편집]

1.1.2 Oracle Server의 전체 구조 살펴보기[편집]

1.1.2.1 Oracle Server 전체 구조[편집]

1.1.2.2 Oracle Instance 의 할당 및 관리[편집]

1.1.2.3 SGA 의 주요 구성 요소[편집]

1.1.2.4 Dynamic SGA 기능[편집]

1.1.2.5 Program Global Area (PGA)의 주요 구성 요소[편집]


1.2 [CHAPTER O2] - SQL 문장의 실행 원리[편집]

1.2.1 Select 문장의 실행 원리[편집]

1.2.1.1 Parse(구문 분석 단계)[편집]

1.2.1.2 BIND(바인드)[편집]

1.2.1.3 Execute(실행)[편집]

1.2.1.4 Fetch(인출)[편집]

1.2.2 Update 문장의 실행 원리[편집]


1.3 [CHAPTER O3] - Oracle Background Processes[편집]

1.3.1 필수 Background Process[편집]

1.3.1.1 DBWR (Database Writer)[편집]

1.3.1.2 LGWR (Log Writer)[편집]

1.3.1.3 PMON(Process Monitor)[편집]

1.3.1.4 SMON(System Monitor)[편집]

1.3.1.5 CKPT(Checkpoint Process)[편집]

1.3.1.6 MMON과 MMNL(Manageability Monitor Processes -10g 이후 버전부터 추가됨)[편집]

1.3.1.7 RECO(Recoverer Process)[편집]

1.3.2 선택적인 Background Processes[편집]

1.3.2.1 ARCn(Archiver Processes)[편집]

1.3.2.2 CJQ0 & Jnnn(Job Queue Processes)[편집]

1.3.2.3 FBDA(FlashBack Data Archiver Process)[편집]


1.4 [CHAPTER O4] - Oracle 시작하기와 종료하기[편집]

1.4.1 Parameter File(초기화 파라미터 파일)[편집]

1.4.1.1 Parameter(파라미터)란 무엇일까요?[편집]

1.4.1.2 파라미터 파일의 내용 확인하기[편집]

1.4.1.3 파라미터 파일의 내용 변경하기[편집]

1.4.1.4 주요 파라미터들의 의미 (ABC 순서입니다)[편집]

1.4.1.5 10g 설치 후 변경해야 하는 파라미터들[편집]

1.4.1.6 11g 설치 후 변경해야 하는 파라미터들[편집]

1.4.2 다양한 방법으로 Instance Open 하기[편집]

1.4.2.1 Shutdown의 4가지 옵션[편집]

1.4.3 Oracle Instance 종료하기[편집]

  1. 실습1. Parameter file 생성 및 관리하기
  2. 실습2. Pfile, Spfile 만들기
  3. 실습3. Startup / shutdown 실습하기



1.5 [CHAPTER O5] - Control File 관리하기[편집]

1.5.1 각 버전별 Control File의 내용[편집]

1.5.2 Control File 관리하기[편집]

  1. 실습 Spfile 일 경우 다중화 하는 방법
  2. 실습 Pfile 일 경우 다중화 하는 방법

1.6 [CHAPTER O6] - Redo Log 관리하기[편집]

1.6.1 Redo Log의 생성 원리[편집]

1.6.2 Redo Log File 구성 및 관리하기[편집]

1.6.2.1 Redo Log Buffer 와 Redo Log File[편집]

1.6.2.2 Redo Log File 관리하기[편집]

1.6.2.3 실습 Redo Log File 관리하기[편집]

1.6.3 심화학습. SCN과 Checkpoint[편집]

1.6.3.1 SCN (System Commit Number)[편집]

1.6.3.2 System Change Number[편집]

1.6.3.3 Checkpoint[편집]


1.7 [CHAPTER O7] - Tablespace와 Data File 관리하기[편집]

1.7.1 개요[편집]

1.7.2 Tablespace의 종류 및 특징[편집]

1.7.2.1 SYSTEM tablespace[편집]

1.7.2.2 SYSAUX tablespace[편집]

1.7.2.3 일반 Tablespace[편집]

  1. 실습1. 일반 Tablespace 생성 및 조회하기
  2. 실습2. 각 Data file의 실제 사용량 확인하는 방법
  3. 실습3. Tablespace 용량 관리 하기

1.7.2.4 Undo Tablespace[편집]

  1. 실습4. Tablespace Offline
  2. 실습5. Data file 이동시키는 작업
  3. 실습6. Tablespace 삭제하기

1.7.2.5 temporary tablespace[편집]

  1. 실습7. 현재 상태 파악하기
  2. 실습8. 신규 undo tablespace 생성하기
  3. 실습9. Undo tablespace 변경하기(UNDOTBS1 -> UNDO01)

1.8 [CHAPTER O8] - Oracle 저장 구조[편집]

1.8.1 Oracle Block 개요[편집]

1.8.2 Oracle Data Block 상세 구조[편집]

1.8.3 PCTFREE 와 PCTUSED[편집]

1.8.4 Row Data 와 Row Chaining & Row Migration[편집]

1.8.5 Extent 와 Segment[편집]

1.8.6 Free List Management(FLM) 기법을 사용한 Extent 관리[편집]

1.8.6.1 FLM 방식에서 Free Extent를 찾는 순서[편집]

1.8.7 Automatic Segment Space Management(ASSM)기법을 사용한 Extent 관리[편집]


1.9 [CHAPTER O9] - Oracle 메모리 관리 기법들[편집]

1.9.1 9i 버전에서의 메모리 관리기법[편집]

1.9.2 10g 버전에서의 메모리 관리기법[편집]

1.9.3 11g 버전에서의 메모리 관리기법[편집]


1.10 [CHAPTER 10] - 사용자 관리[편집]

1.10.1 Schema와 user[편집]

1.10.2 user 생성하기[편집]

1.10.2.1 webuser의 default tablespace 생성하기[편집]

  1. 실습1. 사용자 생성하기

1.10.2.2 Temporary tablespace 생성하기[편집]

1.10.2.3 사용자 생성하기[편집]

1.10.2.4 권한을 설정하기[편집]

1.10.3 사용자 정보 확인하기[편집]

1.10.3.1 default tablespace와 temporary tablespace 정보 확인하기[편집]

1.10.4 profile 관리하기[편집]

1.10.4.1 Password profile 관련 파라미터[편집]

1.10.4.2 Resource profile 관련 파라미터[편집]

  1. 실습2. Password 관련 profile 생성하기 ===

1.10.4.3 사용자에게 profile 할당하기[편집]

  1. 실습3. Resource 관련 profile 만들기

1.10.5 privilege(권한) 관리하기[편집]

1.10.5.1 SYSTEM 관련 주요 privilege[편집]

1.10.5.2 SYSOPER / SYSDBA privilege[편집]

1.10.5.3 SYSTEM 관련 권한 할당하기 / 해제하기[편집]

1.10.5.4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권한 조회하기[편집]

1.10.5.5 Object 관련 Privilege[편집]

1.10.5.6 Object 권한 할당하기 / 해제하기[편집]

1.10.6 Role 관리하기[편집]

1.10.6.1 Role 생성하기[편집]

1.10.6.2 Role에 create session, create table 권한 할당하기[편집]

1.10.6.3 Scott 사용자에게 trole 할당하기[편집]

1.10.6.4 어떤 사용자가 어떤 Role을 사용하는지 확인하기[편집]

1.10.6.5 어떤 Role에 어떤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기[편집]


1.11 [CHAPTER 11] - DBMS_JOB & DBMS_SCHEDULER[편집]

1.11.1 DBMS_JOB 패키지 살펴보기[편집]

1.11.1.1 새로운 job 등록 테스트 하기[편집]

1.11.1.2 등록되어 있는 job 삭제하기[편집]

1.11.1.3 등록되어 있는 job 수정하기[편집]

1.11.2 DBMS_SCHEDULER[편집]

1.11.2.1 주요 특징[편집]

1.11.2.2 구성[편집]

1.11.2.3 DBMS_SCHEDULE 사용하기[편집]

1.11.2.4 JOB의 속성 변경하기[편집]

1.11.2.5 DBMS_SCHEDULER 관리하기[편집]


1.12 [CHAPTER 12] - Network와 Oracle Net Service[편집]

1.12.1 IP Address 와 MAC Address[편집]

1.12.2 IP Address와 Subnet Mask[편집]

1.12.3 Oracle Server로 접속하기[편집]

1.12.4 Oracle Net Service 설정하기[편집]

1.12.4.1 Client 쪽에서의 설정[편집]

1.12.4.2 Server 쪽에서의 설정[편집]

1.12.5 Oracle Net Service 관련 파일들[편집]

1.12.5.1 파일 설정 시 규칙 및 주의 사항[편집]

1.12.5.2 Network 환경 설정 시 사용 가능한 문자[편집]

1.12.5.3 Protocol Address List 설정하기[편집]

1.12.5.4 Client 쪽의 tnsnames.ora 파일 살펴보기[편집]

1.12.5.5 Server 쪽의 listener.ora 파일 살펴보기[편집]

1.12.5.6 sqlnet.ora 파일 살펴보기[편집]

1.12.6 Test and Troubleshooting[편집]

1.12.6.1 tnsnames.ora 와 trcroute 명령어[편집]

1.12.6.2 log file 과 주요 에러 메시지 살펴보기[편집]


1.13 [CHAPTER 13] - FLASHBACK[편집]

1.13.1 Flashback의 종류[편집]

1.13.1.1 Row Level Flashback[편집]

  1. 실습1. Row Level Flashback 실습

1.13.1.2 Table Level Flashback[편집]

  1. 실습2. Drop table 복구하기 / 휴지통 기술 이용

1.13.1.3 Database Level Flashback[편집]

  1. 실습3. truncate table 장애 복구하기(Flashback database 사용)

1.13.2 Flashback Data Archive(11g New Feature)[편집]

1.13.2.1 Flashback Data Archive의 원리 436[편집]

1.13.2.2 Flashback Database Archive 활성화 하기[편집]

  1. 실습4. Flashback Database Archive 활성화하기

1.13.2.3 Flashback Database Archive 사용하기[편집]

1.13.3 Flashback 명령어의 주의사항[편집]


1.14 [CHAPTER 14] - Datapump와 Migration[편집]

1.14.1 Datapump의 장점[편집]

1.14.1.1 작업 관리의 편의성[편집]

1.14.1.2 필요한 디스크 공간의 예측[편집]

1.14.1.3 원격지 DB에 작업 수행 가능[편집]

1.14.1.4 remapping 기능 지원[편집]

1.14.1.5 dump 작업하면서 압축을 동시에 진행[편집]

1.14.1.6 아주 빨라진 작업 속도[편집]

1.14.2 사용 전 환경 설정하기[편집]

1.14.2.1 Full 모드[편집]

1.14.2.2 schema 모드[편집]

1.14.2.3 Tablespace 모드[편집]

1.14.2.4 table 모드[편집]

1.14.3 expdp 실행 모드[편집]

1.14.4 expdp 파라미터 정리[편집]

  1. 실습1. scott 계정의 emp,dept 테이블만 백업 받기
  2. 실습2. scott schema 전부 백업 받기
  3. 실습3. DB 전체를 백업 받기
  4. 실습4. 일시 중단 후 다시 작업하기
  5. 실습5.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job 취소하기
  6. 실습6. 여러 사용자의 테이블 한꺼번에 expdp 받기
  7. 실습7. 병렬로 expdp 작업 하기
  8. 실습8. 파일 위치 다르게 병렬로 expdp 작업하기
  9. 실습9. 파라미터 파일 사용해서 expdp 수행? 여러 개의 파일로 분할 expdp

1.14.5 impdp 관련 파라미터[편집]

  1. 실습10. parameter 파일 이용해서 impdp 작업하기
  2. 실습11. Impdp 병렬 작업하기
  3. 실습12. Import 수행하지 않고 DDL 문장만 추출하기
  4. 실습13. 작업 예상시간 추출하기
  5. 실습14. 데이터 펌프 재 설치하기 (10.2 이상 버전)
  6. 실습15. 데이터 펌프 수행 시 암호화 작업 ? 11g New Featrue
  7. 실습16. 설정된 Directory 경로 확인하기
  8. 실습17. 일자 별 schema 별로 자동 백업 받는 스크립트

1.14.6 Datapump 작업 관리 및 모니터링 하기[편집]

1.14.7 통계정보 이동하기[편집]

1.14.8 Migration와 Character Set에 대해서[편집]

1.14.8.1 Character Set 종류와 NLS_LANG 변수[편집]

1.14.8.2 Unicode에 대해서[편집]

1.14.9 Character Set Scan ( CSSCAN ) Utility[편집]

1.14.10 Migration 작업 순서 및 스크립트 파일 예제[편집]


1.15 [CHAPTER 15] - Oracle ASM[편집]

1.15.1 Oracle ASM의 주요 특징[편집]

1.15.1.1 효율적인 디스크 관리[편집]

1.15.1.2 디스크 I/O의 효과적 분산[편집]

1.15.1.3 비용의 절감[편집]

1.15.1.4 VLDB 지원 (11g ASM New Feature)[편집]

1.15.2 Oracle ASM 구조[편집]

1.15.2.1 Single-Instance의 경우[편집]

1.15.2.2 RAC 환경에서의 ASM 구성[편집]

1.15.2.3 ASM Instance 내부 구조[편집]

1.15.3 ASM Disk Group 개요[편집]

1.15.3.1 Redundancy[편집]

1.15.3.2 ASM Extents[편집]

1.15.4 ASM 관리하기[편집]

1.15.4.1 ASM Instance initialized Parameter File[편집]

1.15.4.2 ASM Instance 시작하기와 종료하기[편집]

1.15.4.3 ASM Disk Group 관리하기[편집]

1.15.4.4 ASM Disk Group 속성[편집]

1.15.4.5 ASM Disk Group 관리를 위한 User Group 생성 및 관리[편집]

1.15.4.6 ASM 환경하에서의 파일 및 디렉터리 관리하기[편집]

1.15.4.7 ASMCMD로 ASM 관리하기[편집]

1.15.4.8 ASM 환경에서의 테이블스페이스 관리하기[편집]

  1. 실습1. 현재 상황 확인하기
  2. 실습2. 신규 테이블스페이스를 생성합니다.
  3. 실습3. ts_new Tablespace에 새로운 data file을 추가합니다.
  4. 실습4. ASM 기반에서의 각종 파일 관리하기

1.16 [CHAPTER 16] - Recovery Manager[편집]

1.16.1 Recovery Manager란?[편집]

1.16.2 Recovery Manager 구성도[편집]

1.16.3 RMAN Memory 구조[편집]

1.16.3.1 Input Buffer[편집]

1.16.3.2 Output Buffer[편집]

1.16.4 RMAN Packages[편집]

1.16.4.1 SYS. DBMS_RCVMAN[편집]

1.16.4.2 SYS. DBMS_BACKUP_RESTORE[편집]

1.16.5 RMAN 작동 원리 설명[편집]

1.16.5.1 rman target / 로 대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편집]

1.16.5.2 SYS.DBMS_RCVMAN 패키지 호출[편집]

1.16.5.3 DBMS_BACKUP_RESTORE 패키지 호출[편집]

1.16.6 Recovery Catalog(복구 카탈로그)란?[편집]

1.16.7 RMAN 백업 종류[편집]

1.16.7.1 backupset으로 백업 수행(default)[편집]

1.16.7.2 Image copy로 백업 수행[편집]

1.16.8 백업 및 복구를 위한 Channel 할당하기[편집]

1.16.8.1 자동 Channel 할당하기[편집]

1.16.8.2 수동 Channel 할당하기[편집]

1.16.9 RMAN으로 백업 수행하기[편집]

1.16.9.1 명령어 종류[편집]

1.16.10 증분 백업 (Incremental backup)[편집]

1.16.10.1 그림으로 보는 차등 증분 백업과 누적 증분 백업[편집]

  1. 실습1. 차등 증분 백업 실습

1.16.10.2 Block change tracking 기능 활성화 후 증분 백업 수행[편집]

  1. 실습2. 수요일에 level 3으로 누적 증분 백업 받기

1.16.10.3 압축하면서 백업 수행하기 (10g, 11g 공통)[편집]

1.16.10.4 압축하지 않고 기본 모드로 전체 Data file 백업 수행[편집]

1.16.10.5 압축하면서 전체 Data file 백업 수행[편집]

1.16.10.6 압축하면서 전체 Archive log file 파일 백업[편집]

1.16.10.7 MultiSection Backup(11g New Feature)[편집]

1.16.11 RMAN 백업 작업 진행사항 확인하기[편집]

1.16.12 RMAN으로 복구하기[편집]

  1. 실습3. Data file 삭제 후 DB Open 상태에서 복구하기
  2. 실습4. Offline 안 되는 테이블 스페이스 삭제 후 복구하기
  3. 실습5. 임시 경로에서 복구하기
  4. 실습6. Datafile 복구하기 ? 필요한 파일만 복원 후 복구하기
  5. 실습7. Drop table후 복구하기 ? 원래 경로 사용
  6. 실습8. Drop table후 복구하기 ? 임시 경로 사용
  7. 실습9. 증분 백업파일을 활용한 drop table 복구하기
  8. 실습10. RMAN backup을 이용한 다른 서버에서의 DB 응급복구
  9. 실습11. RMAN 으로 무정지 긴급 복구 진행하기

1.16.12.1 Drop Table 장애 복구하기- 10g RMAN에서 테스트 되었습니다.[편집]

1.16.12.2 11g New Features 'Targetless DUPLICATE'[편집]

  1. 실습12. Drop tablespace 복구하기

1.16.13 RMAN으로 Block Corruption Recovery 수행하기[편집]

1.16.13.1 Block Recovery 실습1 ? sqlplus의 recover명령어로안되는 경우를 RMAN으로 복구하기[편집]

1.16.13.2 Block Corruption Recovery 실습 2? sqlplus의 recover 명령어로 복구되는 경우[편집]

1.16.13.3 Block Recovery 실습 3? recover … Block 명령을 사용하여 복구[편집]

1.16.14 RMAN 관련 환경 변수 정리[편집]

1.16.14.1 CONFIGURE RETENTION POLICY TO RECOVERYWINDOW OF 1 DAYS ;[편집]

1.16.14.2 CONFIGURE RETENTION POLICY TO REDUNDANCY 1 ;[편집]

1.16.14.3 CONFIGURE DEVICE TYPE DISK PARALLELISM 2 ;[편집]

1.16.14.4 CONFIGURE CONTROLFILE AUTOBACKUP ON ;[편집]

1.16.14.5 CONFIGURE MAXSETSIZE TO UNLIMITED ;[편집]

1.16.14.6 CONFIGURE SNAPSHOT CONTROLFILE NAME TO '/data/backup/open/%F' ;[편집]

1.16.14.7 CONFIGURE BACKUP OPTIMIZATION ON ;[편집]

1.16.14.8 CONFIGURE CHANNEL DEVICE TYPE DISK MAXPIECESIZE 50M ;[편집]

1.16.14.9 Show all ;[편집]

1.16.15 Data Recovery Advisor(11g New Feature)[편집]

1.16.16 Database 사전 예방 점검 기능(11g New Feature)[편집]

1.16.17 RMAN으로 Raw Device 백업과 복구하기[편집]

1.16.18 Control file 재생성시 대처 방법[편집]

1.17 APPENDIX 부록1 리눅스 기초[편집]

1.17.1 기본 Unix / Linux 명령어들[편집]

1.17.1.1 유닉스 계열의 이름 지정 규칙[편집]

1.17.1.2 경로에 대해서 (PATH)[편집]

1.17.1.3 Shell Meta Character (쉘 메타 캐릭터)[편집]

1.17.1.4 주요 유닉스 명령어들[편집]

1.17.1.5 사용자 관리[편집]

1.17.1.6 권한 관리[편집]

1.17.1.7 디스크 관리하기[편집]

1.17.1.8 Process 관리하기[편집]

1.17.1.9 RPM으로 프로그램 관리하기[편집]

1.17.1.10 Cron에 해당 작업 등록하기[편집]

1.18 APPENDIX 부록2 Visual Editor(vi editor)[편집]

1.18.1 Vi editor의 모드[편집]

1.18.1.1 Vi editor 시작하기[편집]

1.18.1.2 Command mode : 명령어 모드[편집]

1.18.1.3 Edit mode : 편집 모드[편집]

1.18.1.4 Last Line mode[편집]

1.18.2 Vi editor 명령어[편집]

1.18.2.1 새로운 글자 입력하기[편집]

1.18.2.2 위치 이동하기[편집]

1.18.2.3 글자 삭제하기[편집]

1.18.2.4 글자 변경하기[편집]

1.18.2.5 글자 검색하기[편집]

1.18.2.6 복사와 붙여 넣기[편집]

1.18.2.7 저장하기[편집]

1.18.2.8 각종 설정하기[편집]

1.18.2.9 이동하기[편집]

1.19 APPENDIX 부록3 LInux Shell Script[편집]

1.19.1 Shell 이란 무엇일까요?[편집]

1.19.1.1 Shell script 형식 살펴보기[편집]

1.19.1.2 조건문과 반복문[편집]

1.19.1.3 awk[편집]

1.19.1.4 주요 Shell Script 예[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