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DB CAFE

Dbcaf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8월 24일 (목) 11:27 판
thumb_up 추천메뉴 바로가기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편집]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個人綜合資産管理計座) / Individual Savings Account (ISA)
  •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서 통합관리하여 절세효과

ISA의 유형 ISA 계좌의 장단점 총정리 (ft. 비과세 혜택, 분리 과세, 납입 한도, 해외주식(ETF) 거래) 3) 중도해지/중도인출 가능 여부

1. 중개형? 일임형? 신탁형?

ISA가 절세에 좋다고 해서 가입하려고 했더니 유형 이 세 가지나 있어서 당황하셨던 경험 있으셨을텐데 요. 각 계좌별로 특징이 있습니다. 일임형은 고객이 전문가에게 자산운용을 일임하는 유형입니다. 이에 비해 신탁형은 고객이 직접 운용 지시를 하여 자산운용을 하는 것인데요. 중간에 은 행 등 전문가를 두고 자산을 관리하는 형식이라는 점에 유사성이 있습니다. 중개형은 일임형 또는 신탁형과는 다르게, 전적으로 본인이 계좌를 운용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구성, 리밸런싱 등 모든 투자결정을 본 인 재량에 따라 직접 하게 됩니다. 그래서 보편적으 로 이야기하는 것은 중개형입니다. _ 따라서 아래에서 알아볼 내용들은 중개형을 기준으 로 작성되었다는 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2. ISA 장단점 총정리

장점 1) 비과세, 분리과세 등 세제 혜택

비과세: 최대 400만원의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 습니다. 비과세 혜택은 일반형/서민형/농어민형에 따라 다 르게 적용되는데요. 총급여액이 5000만원 이하인 근로자 또는 종합소득이 3800만원 이하인 사업자 는 400만원이 적용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비과세 한도가 가입기간 전체 에 적용되는 내용이라는 것입니다. 아래에서 알아볼 납입한도가 연 기준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많은 분들 이 비과세 한도도연간 200만원/400만원이라고 착 각하시지만, 3년이니 총 600만원 비과세되는 것이 아닙니다

분리과세: 비과세 혜택을 초과하는 금액은 9.9%로 분리과세됩니다. 금융소득에 대한 소득세율이 15.4%인 점을 고려 하면 비과세 금액을 초과하더라도 ISA 계좌가 훨씬 유리합니다. 또한, 금융상품에서 발생한 소득이 분 리과세 됨으로써 종합과세될 확률이 줄어든다는 장 점이 있습니다. 연금계좌 전환: 만기에 계좌에 보유한 자금을 연금 계좌로 전환할 경우에는 전환금액의 10% 만큼의 세금을 300만원을 추가로 공제해줍니다. 2) 손익 통산 손익 통산의 개념이 생소하실텐데요. 일반 계좌에서 A 금융상품에 대해 200만원의 손실을 봤고, B 금융 상품에 대해 100만원의 이익을 봤으면 A의 손실에 대해서는 과세하지 않고 B의 이익에 대해서는 과세 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100만원의 손실을 봤음에 도 불구하고 또 세금을 내야하는 아주 억울한 상황 에 처하게 되는데요

ISA 계좌를 통해서 A와 B에 투자한 경우에는 각각 에서 발생한 손익을 통산하여 총 이익을 -100만원 으로 보아 세금을 매기지 않습니다. 이를 이용해 연 말에 손실을 본 주식을 매각하는 등 세율 구간 조정 도 가능하고요. 단점 이 모든 혜택에도 불구하고,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를 이용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 다. 1) 해외주식 직접 투자 불가능 (ETF만 거래 가능) 일반계좌에서는 국내 주식도, 해외 주식도 모두 직 접 투자할 수 있는데요. 직접 투자하기 때문에 해외 주식도 APPLE 1주, 이렇게 직접 보유할 수 있었습 니다. 그런데 ISA 계좌에서는 해외주식 직접 투자가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국내주식만 앞서 알아본 비과세 혜택 등을 얻을수 있늠것이냐? 꼭 그런것은 아니다.

2) 납입한도와 의무가입기간 연 최대 2000만원을 의무가입기간 3년동안 납입할 수 있습니다. 신청하는 경우 최대 5년까지 만기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즉, 인당 계좌에 최대 1억원을 하도로 납입할 수 있는 거예요. 만약 해당연도에 최대 금액을 납입하지 않는다면 다 음 해로 이월되기도 하지만, 그래도 최대 금액이 1 억원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은 가입시 고려해봐야 할 사항입니다. 팩트체크 건강보험료가 인상된다는데? 검색해보면 ISA 계좌를 이용하면 건강보험료가 인 상된다는 내용이 많습니다. 그런데 엄밀히 보면 이 것은 계좌 가입 여부와 무관하게 "금융소득이 많이 발생하면 소득이 늘기 때문에 건강보험료가 인상된 다”는 취지이지, 가입만으로 건강보험료가 인상되는 일은 없습니다.

중도해지/중도인출 의무가입기간이 있기 때문에 목돈을 묶어두신 분들 은 중도에 긴급하게 필요한 일이 있으실 수도 있습 니다. 그런데 ISA 계좌는 중도해지할 경우 지금까지 받은 세금 혜택을 모두 토해내야 합니다. 사실상 목 돈도 묶이고 세제 혜택도 받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 에 해당하게 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추천해드리는 것이 바로 중도인출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입니다. 중도해지는 안되지만, 납부한 원금에 한해서 중도인출은 되기 때문입니다.